유아심리발달 연구, 엄마는 심리학자 103

성인아이의 정의 와 특징 연구

1,성인아이의 정의 역기능가정을 연구하는 이들은 역기능적 가정에서 자라난 사람을 '성인아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연령적으로나 인격적으로 성인의 성숙함을 이루어야 할 때인데 정서적으로 든 영적으로든 어린아이 성향을 버리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현재의 성인의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관계속에서 상처를 입고, 입히며, 파괴시키는 사람들이다. 버지니아 샤티어는 이를 '잘못된 자기가치를 가진 문제아'라고 말하고, 로빈 노우드는 '부모에게 받지 못한 사랑의 욕구불만을 성인이 되어 충족시키고자 애쓰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한편 미너스, 마이어, 헴벨트는 성인아이를 '내면적 속박자'라고 표현하고있는 데 내면적 속박이란 사람, 행위, 혹은 사물에 중독되어 있는 것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또한 휴 미실다인은 그의 책 ..

인간내면의 지배자 <편향적 애착>

인간의 본성에는 편향적 애착이 숨쉬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자기가 낳은 자식의 사랑이다. 자가 자식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편향적 애착이라고 본다. 인간은 누구나 편향적 애착을 갖고 있다 애착을 소유하고 있는 것 뿐만 아나라 편향적 애착 부분에 강한 특성도 갖고 있다. 자기 자식의 사랑은 강한 특성을 가진 편향적 애착이다. 인간이 편향적 애착있을 때 삶의 만족도가 더 있다는 것을 느낀다. 인간은 보편적으로 편향적 애착에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쾌감은 편향적 애착의 보상치고는 과분한 선물이다. 인간은 편향적 애착이 자신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내가 좋아하는 글만 쓰고, 내가 좋아하는 낚시만 한다. 내가 좋아하는 음악만 듣고, 내가 좋아하는 운동만 한다. 좋아하는 것을 하고, 하고 싶어하는 것만 ..

유아기때 애착 불안은 성인의 심리에 어떤 작용을 할까?

유아기때 애착불안은 성인의 심리에 어떻게 작용할까? 요즘 밀레니엄 세대들을 옆에서 겪어보면서 성인의 심리에 작용한 유아기때의 애착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밀레니얼 세대들을 말할 때 흔히 자기중심적이다. 라는 말을 많이한다. 그것은 우리 기성세대들이 느끼는 감정이다. 밀레니얼 세대의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대한 불만들이다.그 불만들을 나열하면 -일 이외는 개인의 삶을 누리고 싶어한다. -자신이 원하는 어떤 이야기든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복적인 일을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재미있는 일을 하며 충분한 보상을 받는 좋은 직장을 가지고 싶어하지만, 일을 하기 위해 자신의 삶의 질을 희생하고 싶은 마음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실상은 어떤가? 밀에니얼 세대들이 일 외에도 개인적인 삶을 즐길 ..

유아심리-선천성을 연구하는 심리학자 이야기

유아심리-선천성을 연구하는 심리학자 이야기 선천성은 오랬동안 로렌츠 나 틴버겐 같은 행태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다양한 동물들의 다양한 행동들- 둥지 만들기, 모성행위, 정찰에서 사냥과 방어에 이르기까지- 이 선천적인 행위로 받아들여 졌으며, 학습이나 그 밖의 환경적 영향..

유아의 발달적으로 펼져져있는 전형적인 패턴들

유아의 발달적으로 펼쳐져 있는 전형적인 패턴들 과거에 자아-본능이라 불릴 수 있는 기능으로 인해 우리는 매우 놀라게 된다. 즉 탐구, 호기심, 지각적 선호, 인지적 새로움을 추구, 숙달의 기쁨, 애착 등의 우선적이고 전형적인 패턴들이 발달적으로 펼쳐진다. 초기에 작동하고 분리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