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심리발달 연구, 엄마는 심리학자

성인아이의 정의 와 특징 연구

인간심리분석 2022. 4. 26. 23:21

1,성인아이의 정의

역기능가정을 연구하는 이들은 역기능적 가정에서 자라난 사람을 '성인아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연령적으로나 인격적으로 성인의 성숙함을 이루어야 할 때인데 정서적으로 든 영적으로든 어린아이 성향을 버리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현재의 성인의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관계속에서 상처를 입고, 입히며, 파괴시키는 사람들이다.

 

버지니아 샤티어는 이를 '잘못된 자기가치를 가진 문제아'라고 말하고, 로빈 노우드는 '부모에게 받지 못한 사랑의 욕구불만을 성인이 되어 충족시키고자 애쓰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한편 미너스, 마이어, 헴벨트는 성인아이를 '내면적 속박자'라고 표현하고있는 데 내면적 속박이란 사람, 행위, 혹은 사물에 중독되어 있는 것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또한 휴 미실다인은 그의 책 "몸에 밴 어린시절" 에서 성인아이를 '위로받지 못하고 자라란 과거 내재아' 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과거 내재아는 문자 그대로 성인이 된 지금에도 성인의 생활 속에 그대로 남아 계속되는 소아적 모습이라고 말한다.

 

역기능 가정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역기능 가정에서 자라난 사람을 '성인아이'라고 부른다. 생활의 어떤 영역에 대해서는 어른과 같이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어린이를 말할 수도 있고 아직도 어린 시절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는 성인을 의미할 수도 있다.

 

2, 성인아이의 특징

중독 또는 역기능적 가정 환경에서 성장한 개인과 연관된 연구는 이런 가정 출신의 성인아이들에게 몇 가지 감정들과 행동들이 공통적으로 존재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일반인들이 이런 여러 행동을 취하기도 하지만, 역기능 가정 출신의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특성이 나타나는 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성인아이의 특징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 성인아이는 낮은 자존감 때문에 돌출행동을 자주한다.

    자신과 타인을 무자비하게 비판하고, 완전주의적으로 행동한다.

     또한 남을 돌보는 역활을 함으로써 고압적으로 행동하고 남을 비웃고 험담함을 자신의 부족함을 감추거나 보상하려        고 한다.

 

-2,성인아이는 자신을 고립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 특히 권위를 상징하는 사람들 주위에서 안절부절하는 경향이 있다.

 

-3,성인아는 인정받기를 갈급해 한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좋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이나 하려고 한다.     

    충성할 필요가 없을 때도 끝까지 지나칠 정도로 충성한다.

 

-4, 성인아이는 분노와 개인적 비판에 쉽게 위협을 느낀다.

따라서 이들은 쉽게 불안해하며 민감하게 반응한다.

 

-5,성인아이는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덜 매력을 느낀다.

습관적으로 중독적/ 충동적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쪽을 택한다. 이들은 희생자로 생활하면서 사랑과 우정관계에서 다른 희생자에게 끌린다. 또한 사랑과 동정을 혼동해 구조할 수 있는 불쌍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사랑한다.

 

-6,성이아이는 지나치게 책임감이 있거나 지나치게 무책임하다.

    이들은 다른 사람의 문제를 해결해주려 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위해 책임져주기를 기대한다.

 

-7, 성인아이는 스스로를 주장하거나 소신있게  행동할때 죄책감을 느낀다.

       이들은 자신을 돌보는 대신 다른 사람들의 욕구나 견해를 따른다.

 

-8,성인아이는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상실한다.

    이는 어린시절에 받았던 충격으로 말미암은 감정을 부인하거나 축소시키거나 억압한다.

 

-9,성인아이는 거절이나 버림받는 것을 두려워하는 의존적 인격이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에게 해로운 직업이나 관계 속에 그대로 머무는 성향이 있다.

 

-10, 성인아이는 친근한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 불안정하게 느끼고 다른 사람을 신뢰하지 못한다. 분명한 경계가 없어         서 다른 사람의 감정과 필요로 부터 자신을 개별화시키지 못한다.

 

-11,성인아이는 즉각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며, 시작부터 끝까지 어떤 일을 따라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12,성인아이는 매사에 통제에 대한 강력한 필요를 느낀다.

 

-13,성인아이는 아무런 대안이나 대책없이 가능한 결과들에 대해 고려해보지도 않고 행동한다 이런 충동은 혼돈과 자기 혐오를 가져오며 자신이 처한 환경을 통제하지 못하게 만든다. 더욱이 이런 행동으로 말미암아 사태를 수습하기위해 과다한 힘을 소비하게 된다.

 

모든 성인아이가 갖고있는 생활양식 중에는 종속중독이 있다. 그는 그들의 태도와 행동을, 그리고 의견에 통제를 받으며 동시에 통제하려고 하는 가운데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일에 변화가 일어나면 과민반응을 하고 어쩔줄을 모른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해 볼때 성인아이들은 행동과 태도에서 몇가지 일정한 특징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인아이는 적어도 사람을 신뢰하고, 감정을 처리하고, 우울감을 느끼고, 책임감을 다루는 데 있어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