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주의 심리철학의 영향력
기능주의 의 이름으로 심리철학과 심리학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세가지의 입장이 있다.
첫째는 기능적 분석이 있다.
이런 의미의 기능주의는 하나의 설명 유형이며, 이차적으로는 그러한 유형에 대한 설명을 찾는 탐구 전략이다.
즉 기능적 설명은 한 체계의 작업을 그 부분들의 작업능력과 그 부분들이 서로 통합되는 방식으로 설명한다.
둘째, 계산-표상 기능주의가 있다.
이 입장에 따르면 심리적 설명은 마음에 대해 일종의 기계 작동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심리 상태는 사고언어에 의해 세계를 체계적으로 표상하는 것이며, 심리과정은 이러한 표현을 포함하는 계산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심리적 설명이 아니라 주로 마음의 본성에 대해 관심을 두는 형이상학적 기능주의가 있다.
형이상학적 기능주의에 의하면 심리상태는 기능적 상태이다.
블록(Block, N1980)에 따르면 형이상학적 기능주의는 대략 퍼트남-포더-블록 계열과 스마트-암스트롱-루이스-슈메이커 계열의 기능주의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전자는 기능적 상태 동일론, 튜링기계 기능주의, 심리기능주의 등으로 후자는 기능적 명기론, 비-튜링 기계 기능주의, 상식적 기능주의 등으로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앞의 계열과 뒤의 계열의 기능주의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앞의 기능주의는 "심적 속성이 물리적 속성에 의해서 실현되기는 하지만 심적 속성 자체는 그러한 물리적 속성과 구별되는 인과적 / 기능적 속성, 즉 2차적 속성"이라고 본다.
이와 반대로 후자의 경우에는 "심적 속성은 그 기능적 역활에 의해서 규정된 물리적 속성이 된다. 물리적 실현이 맞다면 기능적 규정을 통해서 지시되는 것은 결국 물리적 속성"이기 때문이다
'기능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이 성숙하는 것은 내적 영향의 확산 효과 때문이다 (0) | 2015.03.10 |
---|---|
퍼트남(Putnam)의 기능주의 (0) | 2015.02.23 |
기능주의와 행동주의(기능주의 심리철학 연구를 중점으로) (0) | 2015.02.23 |
기능주의의 주요 주장들(기능주의 심리 철학 연구를 중점으로) (0) | 2015.02.23 |
기능주의심리학과 기능심리학의 비교 (0) | 201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