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심리학

통찰력이란 무엇인가?--탐색기능 심리적 에너지

인간심리분석 2015. 1. 1. 10:05

통찰력이란 무엇인가?

 

에견 능력이 있는 지도자들은 사물의 형세와 발전 추세에 대해정확한 판단과 예측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적한 시기에 기회를 잡아 과학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지도자는 특히 민감한 통찰 능력을 가지고 적절한 시기를 살피고  미래를 예견해야 한다.

그래야만 시대의 보조를 맞추고 미래의 발전을 요구 할 수 있다.

 

마이크 비먼 박사는 노스웨스턴 대학의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통찰력 신경과학계의 세계적 전문가이다.

비먼 박사는 통찰력있는 사람들은 통찰력이 나타나기 직전에 흥미로운 뇌의 신호를 경험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통찰력으로 문제를 풀기 약 1.5초 전에 뇌로 들어오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부위인 우측 후두엽 전반에 걸쳐 알파대의 활동성이 느닷없이 평소보다 증가하는 시간이 길어졌다'고 주장한다.

 

또 비먼 박사는 감정상태와 통찰력 사이의 강력한 상관관계도 알아냈다.

행복할수록 통찰력을 더 잘 발휘하는 반면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그 반대가 된다는 것이다.

통찰력의 달인은 자신의 내적 경험을 잘 관찰하고 있다가 필요하면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다.

이런 사람들 일수록 인지제어를 잘 하며 필요할 때 좀 더 평온한 마음 상태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