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강의

역사해설-천하연인 미실과 신라 왕 (2007신춘문예 시나리오 출춤작을 역사해설로 개작 )

인간심리분석 2014. 12. 14. 19:30

상기 작품은 본인 김영수의 2007.11,15일 완작 2008 신춘문예 시나리오 출춤작을 역사해설2014로 개작한 것임을 밝힙니다.

 

- 역사해설-

 미실 과 신라 왕--해설1

지은이 -낭계 김영수

 

인물소개

법흥왕-제23대 신라왕

보도왕후: 법흥와의 정비(비천왕의 딸):지소부인의 어머니

보과공주: (백제성왕의 딸): 남모, 모랑의 어머니

옥진궁주: 법흥와의 후궁:비대의 어머니(*궁주란 후궁의 이종으로 왕으로 부터 궁을 물려받아 생활함)

벽화공주: 법흥왕의 후궁:삼엽공주의 어머니

묘도궁주: 법흥와의 후궁 옥진궁주와 법흥왕의 동생 영실공과의 사이에서 태어남

사도왕후: 옥진궁주의 의 딸

흥도궁주: 옥진궁주의 의 딸

만호공주: 법흥와의 동생 입동과 법흥와의 딸 지소사이의 공주

입종갈문: 법흥와의 동생

태종(이사부): 내물왕의 4대손(가야정벌, 우산국정벌, 금현성함락)

세종: 지소부인과 태종(이사부)의 아들

숙명: 지소부인과 태종이사의 딸

미실: 미진부와 묘도부인의 딸

미생;미진부와 묘도부인의 아들

미진부:미새의 아버지, 제2세 풍월주

위하랑:1세 풍월주

모랑: 3세 풍월주

이화랑:4세 풍월주

사다함:5세 풍월주

세종:6세 풍월주

설원랑:7세 풍월주

문노:8세 풍월주

비보랑:9세 풍월주

미생:10세 풍월주

하종:11세 풍월주(미실의 아들)

그외 보리,용춘, 호림, 보종:풍월주

진편왕:제26대 신리왕

만호부인:법흥왕의 동생 입종과 법흥왕의 딸 지소부인 소생의 공주

거칠부;황공;내물왕의 5대손

이사부:가야국출 내물왕의 4대손

윤궁낭주:거칠부의 딸 8세 풍월주 문노와 혼인

혜랑법사:신라중기때의 중 신라최초의 승통

구진; 사다함의부친

노부:영실공과 옥진궁주사이의 소생(노리부)

 

미실의 자녀들

미실과 세종사이:하종과 옥종

미실과 동륜태자:애송공주

미실과 진흥왕:반야, 난야, 수종전군

미실과 설원량:보종

미실과 진평왕:보화

 

해설---1

신라 23대 법흥왕과 정비 보도왕후 사이에는 아들이 없어 법흥왕의 동생 영실공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였다.

법흥왕의 동생 입종 갈문의 지소부인이 진흥을 낳았다.

지소부인이 진흥을 왕위계승시키기 위해 위화랑, 미진부, 이사부, 거칠부, 김무력 등과 비밀회동을 갖는다.

 

위화랑:염신공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벽아부인

어머니인 벽아부인이 비치왕(21대 소지왕)의 총애를 받아 위화랑은 마복자가 되었다.

 

 

*마복자

자신의 정부가 낳은 다른 사람의 아들을 자기아들 처럼여기고 특별히 보살펴주는 것

(위화랑이 누이 벽화후에게 법흥왕을 잘 모시게 해 삼엽궁주를 낳는다

위화랑이 사모한 오도는 삼엽궁주에게 아첨하여 위화랑과 가까이 지내게 하였고 몰래 정을 통하여 옥진, 금진진을 낳았다.

옥진궁주는 법흥왕의 동생에게 출가하였으나 법흥와의 총애를 받아 비대공을 낳았다.

법흥왕은 옥진궁주를 매우 사랑하여 진흥을 세자로 세울 뜻이 없었다.

 

 

*풍월주란 화랑의 우두머리

*궁주:후궁의 일종으로 왕으로부터 궁을 하사 받아 생활

 

해설---1

지소부인의 방에 이사부, 위화랑, 미진부, 김무력 등이 지소부인을 앞에 두고 앉아있다

지소부인이 입을 열었다.

"전장에세 애쓰시는 여러분을 이렇게 한 자리에 모시게 된것은 요즘 들어 더욱 병이 깊어지신 법흥대왕의 후사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물론 현재 옥진이 대왕의 총애를 받고있어 비대가 왕자의 지위에 있기는 하나 진골정통인 진흥을 태자로 책봉케하여 진골이 이나라를 이끌어 종묘사직을 관장하고 만 백성의 추대를 받아 등극하여야 신라의 왕손으로 조상님께 부끄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특히 위화랑공의 여식 옥진이 왕후를 꿈꾼다면 신라의 군부의 수장들이 어찌 가만히 보고있겠습니까?"

 

소지-위화랑의 얼굴을 응시한다. 위화랑- 고개를 떨구고 생각한다.

법흥왕의 총애를 받고있지만 법흥왕의 사후에 일어날 일들이 주마등같이 떠오르고 있다.

옥진궁주가 집권한 장면과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고 진흥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의 자신의 모습과 옥진의 모습을 떠올린다.

 

위화랑이 고개를 숙이고 있을때 소지가 이사부와 눈을 마주친다.

이사부가 군부의 실세로서 위화랑을 위압주길 원하면서..

 

이사부가 입을 연다.

"이공도 지난 가야토벌이나 우산국토벌 때 많은 공을 세우셨지만 신라군이야말로 지금 화합이 중요하고 내실있는 군기와 국가에 충성심이 더욱 중요한 시기입니다. 우리 잘 해봅시다"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목소리에 힘을 준다.

 

미진부가 입을 연다.

"이장군의 말씀이 맞습니다.

앞으로 신라는 백제와 동맹을 하고있으나 고구려, 백제, 가야, 왜, 돌궐등이 우리의 안위를 위협하고있으니 신라군은 더욱 화합한 모습으로 이장군의 뜻으로 뭉쳐야 할 것입니다."

이때 김무력 장군과 거칠부 장군도 같은 눈빛을 보내고 있었다.